전체 글20 시간여행으로 본 엔드게임, 영화 속 시간의 논리와 감정 – 찬사와 비판 사이에서 어벤져스: 엔드게임(Avengers: Endgame)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11년 대서사의 피날레이자, 대중문화의 정점 중 하나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그러나 이 영화가 단지 히어로들의 최종전을 그린 블록버스터로 남았더라면, 이토록 오랜 시간 동안 관객의 마음에 남아 있진 않았을 것이다. 엔드게임은 이야기의 중심에 ‘시간’을 배치하며, 영웅들의 내면을 감정적으로 풀어낸다.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감탄과 함께 비평적인 질문도 던질 수밖에 없다.시간여행은 고전적인 SF 장르의 대표 소재다. 수많은 영화들이 이를 통해 복잡한 서사와 세계관을 구축했고, 때로는 이 설정의 허술함이 이야기의 몰입을 방해하기도 했다. 엔드게임은 이러한 함정을 인식하듯, 기존 시간여행 공식을 뒤엎는다. “과거를 바꿔도 현.. 2025. 5. 13. 마음 치유 영화 추천 : 너의 이름은. 요즘처럼 마음이 어지럽고 머리가 복잡한 날엔, 조용히 감정을 내려놓을 수 있는 영화 한 편이 필요합니다. 눈물도 좋고, 웃음도 좋고, 아무 말 없이 바라볼 수 있는 풍경도 좋습니다. 정신 건강은 특별한 치료나 거창한 노력이 아니라, 그렇게 감정을 천천히 마주하는 시간에서부터 시작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마음이 지쳤을 때, 조용히 감정을 회복하게 해주는 영화 한 편을 소개해보려 합니다.바로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 입니다.이미 많은 분들이 이 영화를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단순한 로맨스, 애니메이션으로만 보기엔 이 영화가 주는 감정의 파동은 꽤 깊습니다."너의 이름은." 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대표작으로, 도쿄에 사는 소년 ‘타키’와 시골에 사는 소녀 ‘미츠하’가 어느 날 꿈속.. 2025. 5. 12. 영화 1987 : 역사와 감정이 만나는 순간 1987년. 단순히 숫자로만 보면 특별할 것 없어 보이는 이 해는,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뜨겁고 아팠던 한 해였다. 영화 《1987》은 그해를 통째로 스크린 위에 올려놓는다. 단순한 재현이 아니다. 그때의 공기, 감정, 분노, 그리고 희망까지 모두 꾹꾹 눌러 담아 관객의 심장 깊은 곳을 두드린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누군가의 고통을 ‘기억해야 할 책의 한 줄’로만 알고 있었던 자신이 부끄러웠다.모든 이야기는 한 청년의 죽음에서 시작된다. 서울대생 박종철. 그는 민주화를 외치던 시대의 한가운데에 있었고, 연행된 뒤 경찰 조사 중 사망한다. 당국은 그의 죽음을 덮기 위해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말도 안 되는 발표를 내놓는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말을 그대로 믿지 않았다. 의심은 언론과 검찰.. 2025. 5. 11. 인사이드 아웃 1 vs 2 비교 분석 성장통을 그린 두 편의 감정 대서사시아이의 마음에서 청소년기의 복잡한 감정 세계로, 픽사는 또 한 번 우리의 마음을 울렸습니다.서론: 울고 웃으며 다시 만난 감정 친구들 “기쁨이와 슬픔이 다시 돌아온다고?”*Inside Out 2(인사이드 아웃 2)*의 개봉 소식을 들었을 때, 설렘과 동시에 걱정도 밀려왔습니다. 전작이 워낙 완성도가 높았기에, 과연 속편도 그만큼 깊고 감동적일 수 있을까 싶었거든요.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서, 저는 한참 동안 가만히 앉아 감정을 정리해야 했습니다.1편이 ‘감정의 존재 이유’를 말해줬다면, 2편은 ‘감정의 공존 방법’을 보여줍니다.이 글에서는 두 편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줄거리, 감정 캐릭터, 주제 의식 세 가지로 나누어 비교해 보겠습니다.1. 🎬 줄거리: 단순한 여정에서 .. 2025. 5. 11. 트루먼 쇼 | 진짜 삶이란 무엇인가 당신의 현실은 정말 현실입니까? “Good morning, and in case I don't see ya: good afternoon, good evening, and good night!” 짐 캐리가 연기한 트루먼 버뱅크는 매일 아침 이렇게 인사를 하며 평범한 삶을 살아간다. 바닷가 근처의 작은 마을, 세히븐(Seahaven)에서 그는 착실한 보험회사 직원이고, 이웃들과 웃으며 인사하고, 아내와 안정된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다.겉보기엔 아무 문제도 없고, 모든 것이 완벽한 일상이지만, 우리는 곧 그것이 조작된 세상이라는 걸 알게 된다.그는 태어났을 때부터 거대한 TV 세트 안에 갇혀, 온 세계가 지켜보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주인공으로 살아가고 있었다.그러나 정작 트루먼 자신은 이 모든 것이 가짜라는 .. 2025. 5. 10. <기생충>과 <라라랜드>로 본 시각 언어 미장센 입문기 솔직히 말하자면 예전의 나는 영화를 본다고 하기보다는 '줄거리를 따라간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관객이었다. 누가 주인공이고, 어떤 갈등이 있고, 결말은 해피엔딩인지 새드엔딩인지만 알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멋진 장면이 나오면 “와, 이쁘다” 하고 넘어갔고, 캐릭터가 울면 같이 울고 웃으면 웃었지만, 그 장면이 왜 그렇게 아름답게 느껴졌는지, 왜 마음이 흔들렸는지를 깊이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하지만 어느 날 두 편의 영화를 보면서 그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하나는 봉준호 감독의 , 또 하나는 데이미언 셔젤 감독의 였다.이 두 영화는 전혀 다른 장르이고, 표현 방식도 극과 극이지만, 공통적으로 나에게 ‘미장센’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체감하게 만든 영화였다.을 처음 봤을 때 나는 줄거리에 빠져들기보다 이상.. 2025. 5. 1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