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stellar | 과학을 품은 서사, 감정으로 완성된 우주 서정시 시간을 넘은 사랑, 블랙홀 너머에서 건넨 메시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는 겉으로는 SF의 외형을 갖추고 있으나, 그 내면은 철저히 인간적인 드라마다.이 영화는 중력, 시간지연, 블랙홀, 다차원 공간 등 물리학의 복잡한 개념을 서사 안에 녹여내지만, 결국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아버지와 딸 사이의 사랑, 존재와 신념의 충돌, 그리고 인류라는 종의 존속을 향한 의지다.1. 지구의 종말, 선택받은 이들의 여정이야기는 인류가 생존의 기로에 선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환경은 파괴되었고, 식량난은 극심하며, 문명은 과거의 영광을 잃었다.주인공 쿠퍼(매튜 맥커너히)는 전직 NASA 파일럿이자 현재는 농부로 살아가고 있다.그에게는 딸 머피가 있다. 두 사람은 강한 유대감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관계는 영화 전체를 지탱하는 정서적 축이 된다.쿠퍼는 우연한 기..
2025. 5. 8.
영화 Amélie, 프랑스를 색으로 기억하다
색채가 말해주는 몽마르트의 낭만, 상상, 그리고 따뜻함 프랑스는 어떤 색일까?에펠탑이 비치는 흐린 회색일까, 루브르 박물관의 석조 벽처럼 고풍스러운 베이지색일까, 아니면 노천카페의 테이블 위, 레드와인의 짙은 붉은색일까.하지만 영화 를 본 후, 내 머릿속에서 프랑스는 더 이상 그런 색이 아니게 되었다.그곳은 선명한 빨강과 따뜻한 녹색, 그리고 노란 조명이 가득한 상상의 공간으로 기억된다.장 피에르 주네 감독의 Amélie는 프랑스의 몽마르트를 배경으로 하는 작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이야기보다 더 오래 남는 건 화면 가득 채워진 색이다.이 영화에서 색은 단지 미장센을 꾸미는 요소가 아니다. 그것은 아멜리라는 인물의 내면을 드러내고, 파리라는 도시의 감정을 전달하며, 프랑스라는 공간 자체를 시각적으로..
2025. 5. 8.
영화 라라랜드, 음악감독의 눈으로 바라보다
멜로디가 추억이 되고, 재즈가 그리움이 되는 순간 처음 를 보았을 때, 나는 이 영화가 단순한 뮤지컬 로맨스가 아니라는 걸 곧바로 느꼈다. 음악감독의 시선으로 이 영화를 다시 보면, 그 중심에는 ‘음악이 이야기를 이끈다’는 철저한 설계가 있었다. 는 말보다 멜로디가 앞서고, 대사보다 피아노가 진심을 말하는 영화다. 주인공들의 감정선이 곡의 전개에 따라 요동치고, 관계의 변화가 음악의 분위기로 전달된다. 그 모든 것들이 너무도 정교하게 맞물려 있다.영화 초반, 고속도로 위에서 펼쳐지는 대규모 뮤지컬 넘버 〈Another Day of Sun〉은 단순한 오프닝이 아니다. 꿈을 좇는 젊은이들의 설렘, 도시의 리듬, 그 안에서 피어나는 재즈의 에너지를 한 장면에 농축시킨다. 음악은 단순히 흥겨운 배경이 아니라, ..
2025. 5. 7.
마더 : 모성인가, 광기인가 — 경계 위에 선 이름 없는 어머니
봉준호 감독의 영화 는 제목 그대로 '어머니'에 관한 영화다. 하지만 이 영화가 말하는 어머니는 우리가 익숙하게 소비해온 ‘성스러운 모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녀는 자애롭지만 위험하고, 사랑하지만 파괴적이며, 무엇보다 너무 인간적이다. 는 그렇게 모성과 광기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밟으며, 관객에게 한 가지 질문을 던진다. 어머니는 어디까지 갈 수 있는가?영화의 주인공은 이름조차 주어지지 않은 중년 여성이다. 그녀는 아들을 위해 수시로 약초를 달이고, 그림자를 밟는 것도 피한다. 약간의 장애가 있는 아들 도준은 엄마의 모든 삶의 이유이자, 존재의 중심이다. 하지만 어느 날, 한 소녀가 살해당하고, 도준이 범인으로 몰리면서 상황은 뒤집힌다. 세상은 냉담하고, 수사는 허술하며, 법은 거칠고 편향돼 있다. 그리..
2025. 5. 7.